장마 기간 기단 배치
장마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장마전선 형성에 영향을 주는 열역학적 성질이 서로 다른 기단들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고려하는 상당온위의 분석을 통해 장마 형성에 영향을 주는 기단들의 배치 및 그에 따른 정체전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림 1-2], 이 그림은 30년 평균 자료를 이용하여 그린 것으로, 자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부록1의 사용한 기상·기후 자료 및 분석 기간을 참조). 일반적으로 메이유는 열대 몬순과 대륙성 기단 사이에서 발달하며, 바이우는 주로 열대 몬순 및 북태평양 고기압과 오호츠크해 기단 세력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장마는 다음 모든 기단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더욱 복잡한 특성을 보인다.
· 열대수렴대의 서쪽 끝부분 및 우리나라 남서쪽에 위치한 고온 다습한 열대몬순 기압골과 관련된 기단
· 우리나라 남동쪽에 위치한 온난한 기단으로, 열대 몬순 기단보다는 절대 수증기량이 적은 북태평양 고기압과 관련된 기단
· 우리나라 북동쪽에 위치한 한랭습윤한 오호츠크해 기단
· 우리나라 북서쪽에 위치한 상대적으로 고온건조한 대륙성 기단
· 우리나라 북쪽 고위도의 한대성 극기단
· 열대수렴대의 서쪽 끝부분 및 우리나라 남서쪽에 위치한 고온 다습한 열대몬순 기압골과 관련된 기단
· 우리나라 남동쪽에 위치한 온난한 기단으로, 열대 몬순 기단보다는 절대 수증기량이 적은 북태평양 고기압과 관련된 기단
· 우리나라 북동쪽에 위치한 한랭습윤한 오호츠크해 기단
· 우리나라 북서쪽에 위치한 상대적으로 고온건조한 대륙성 기단
· 우리나라 북쪽 고위도의 한대성 극기단
[그림 1-2] 장마 기간 동안 (6월 하순 ~ 7월 중순) 850-hPa 고도의 상당온위 (색, K) 및
상당온위 남북경도 (점선, 10-5 K m-1, 그리고 500-hPa 고도의 5880 gpm 선 (굵은 실선) (서경환 등 2011)
북태평양 고기압과 오호츠크해 기단의 대치에 크게 영향을 받는 해가 있는 반면, 열대 몬순 기압골의 영향이 더 큰 해도 있다. 또한 강한 북극진동과 연관된 한대 대륙성 기단이 한반도의 장마에 영향을 강하게 미치는 시기도 있다. 따라서 해마다 정체전선의 형성 및 위치, 장마의 시종, 기간, 강도가 큰 폭으로 변화한다. [표 1-1]은 각 기단의 특징을 요약한 것이며, [그림 1-3]은 각 기단의 배치를 모식화한 것이다.
정체전선은 상당온위의 남북경도가 음의 최소값을 나타내는 지역, 즉 기단들의 열역학적 차이가 가장 큰 지역에 위치한다 ([그림 1-2] 흑색 점선). 메이유는 일반적으로 온난습윤한 열대 몬순과 온난건조한 대륙성 기단 사이의 습도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는 반면, 바이우는 한랭습윤한 오호츠크해 고기압과 온난습윤한 북태평양 고기압 사이에서 온도와 습도 차이가 모두 크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경도 상으로 중간에 위치하는 한반도의 장마는 주변 모든 기단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복잡한 양상을 띤다. 즉, 기본적으로 기단 사이 온도와 습도 차가 모두 큰 특징을 보이고 있지만 경년 또는 계절내에서 습도 차이가 많이 나는 기단의 영향을 받을 때도 있다.
정체전선은 상당온위의 남북경도가 음의 최소값을 나타내는 지역, 즉 기단들의 열역학적 차이가 가장 큰 지역에 위치한다 ([그림 1-2] 흑색 점선). 메이유는 일반적으로 온난습윤한 열대 몬순과 온난건조한 대륙성 기단 사이의 습도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는 반면, 바이우는 한랭습윤한 오호츠크해 고기압과 온난습윤한 북태평양 고기압 사이에서 온도와 습도 차이가 모두 크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경도 상으로 중간에 위치하는 한반도의 장마는 주변 모든 기단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복잡한 양상을 띤다. 즉, 기본적으로 기단 사이 온도와 습도 차가 모두 큰 특징을 보이고 있지만 경년 또는 계절내에서 습도 차이가 많이 나는 기단의 영향을 받을 때도 있다.
[표 1-1] 우리나라 장마 기간에 영향을 주는 기단 및 그 특징
[그림 1-2] 장마 시기 기단의 배치 (서경환 등 2011)